이반 바그라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반 바그라먄은 아제르바이잔에서 태어난 아르메니아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군사 경력을 시작했다.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군대에서 복무하다가,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된 후 붉은 군대에 합류하여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이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등을 졸업하고, 스탈린의 대숙청 시기를 미코얀의 도움으로 넘겼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키예프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등에 참여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으며, 1955년 소련 원수로 진급했다. 전후에는 발트 군관구 사령관 등을 역임했으며, 1982년 사망하여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그는 두 차례 소련 영웅 칭호를 수여받았으며, 다양한 훈장을 받았다.
러시아 제국 옐리자베트폴(현 아제르바이잔 간자) 출신으로, 기술학교 재학 중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5년 러시아 제국군에 자원 입대하여 오스만 제국군과 싸웠다. 1917년 군사학교 졸업 후 준사관으로 임관했으나 10월 혁명으로 부대가 해체되었다.
1944년 바그라티온 작전에서의 공적으로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와 레닌 훈장을 처음 수훈했다.[57] 1977년 12월 1일, 두 번째 금성 훈장을 받아 이중 영웅이 되었다.[57] 주요 수훈 내역은 다음과 같다.
[1]
문서
Jukes p. 25
2. 경력
1918년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군대에 참여했고,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된 후에는 붉은 군대 소속으로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내전 이후 기병지휘과정(1925년), 고급지휘관 과정(1931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1934년), 참모본부 아카데미(1938년)를 졸업하며 군사적 역량을 키웠다. 대숙청 시기 위기를 겪었으나 아나스타스 미코얀의 도움으로 벗어났다.
1940년 키예프 군관구 참모부 작전과장으로 임명되었고, 1941년 독소전쟁 발발 후 남서 전선에서 키예프 방어전 등에 참여했다. 1942년 7월 제16군 사령관(이후 제11친위군으로 개편)으로 임명되어 야전 지휘관 경력을 시작했다.
1943년 11월 제1 발트 전선 사령관이 되었고, 1944년 바그라티온 작전에서 독일 중앙군집단 격파에 기여하며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다. 이후 발트해 연안으로 진격하여 독일군을 포위했다. 1945년 4월에는 제3 벨로루시 전선 사령관으로서 동프로이센 작전을 지휘하고 쾨니히스베르크(현 칼리닌그라드)를 함락시켰다.
전후에는 발트 군관구 사령관(1945-1954), 국방부 총감독관, 국방차관 등을 역임했으며, 1955년 3월 소련 원수 계급에 올랐다.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 교장(1956-1958) 등 군의 여러 행정 및 교육직을 거쳤다. 1941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하여 1961년부터 중앙위원회 위원을 지냈고, 1977년 소련 영웅 칭호를 다시 받아 이중 영웅이 되었다. 1982년 9월 21일 사망 후 모스크바 붉은 광장의 크렘린 벽 묘지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897년 12월 2일(구력 11월 20일)[3] 당시 러시아 제국령이던 옐리자베트폴(현 아제르바이잔 간자)의 철도 노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3] 그의 부모는 아르메니아인으로, 아버지 하차투르와 어머니 마리암은 원래 차르다클리 마을 출신이었다.[4][5] 1912년 지역의 2년제 학교를 졸업한 후,[6] 기술자가 되기 위해 조지아 트빌리시에 있는 3년제 철도 기술 연구소에 입학하여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7]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그의 진로는 바뀌었다. 코카서스 전선의 군사 상황과 오스만 제국 내 아르메니아인 학살에 대한 소식을 접한 그는 참전을 결심했고,[8] 1915년 9월 16일 러시아 제국군에 자원 입대했다. 아칼치케에서 기초 훈련을 마친 후 제2 코카서스 국경 연대에 배속되어 페르시아 전선에서 오스만 제국군과 싸웠다. 그는 아사다바드, 하마단, 케르만샤 전투에 참여하여 전공을 세웠다.[9]
전투에서의 공으로 상관 파벨 멜릭-샤흐나자리안 장군의 권유를 받아 트빌리시의 프라포르쉬크 군사 학교에 입학할 준비를 했다.[10] 김나지움 졸업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아르마비르에서 시험을 준비하여 통과한 후, 1917년 2월 13일 학교에 입학했다. 같은 해 6월 졸업과 함께 준사관으로 임관하여[3] 우르미아 호수 근처에 주둔한 제3 보병 연대에 배속되었다. 그러나 1917년 10월 혁명으로 러시아 임시 정부가 전복되면서 그의 부대는 해체되었다.[11]
1918년 아르메니아 제1 공화국이 수립되자 바그라먄은 새로 창설된 공화국 군대에 합류하여 제3 연대에 입대했다.[7] 1918년 4월 1일부터는 제1 기병 연대 소속으로 카라우르간, 사르카미쉬, 카르스 등지에서 진격해오는 오스만 제3군과 싸웠다.[7] 특히 1918년 5월 사르다라파트 전투에 참여하여 아르메니아 군의 결정적인 승리에 기여했다. 그는 1920년 5월까지 아르메니아군에서 복무했다.[12] 이후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고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면서 아르메니아군도 붉은 군대로 흡수되었다.
2. 2. 러시아 내전 및 소비에트 연방 초기
1917년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10월 혁명으로 볼셰비키가 임시 정부마저 전복시키자 바그라먄이 속했던 부대는 해체되었다. 1918년, 아르메니아가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으로 독립하자 바그라먄은 신생 공화국 군대에 참여했다. 그러나 3년 후인 1920년, 붉은 군대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아르메니아 등 남부 코카서스 공화국들을 침공했다.
1920년 5월, 바그라먄은 당시 사회적, 정치적 상황에 불만을 품고 다시나크추튜운이 이끌던 아르메니아 정부에 대항한 5월 봉기에 참여했다.[13] 같은 해 아르메니아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고 곧 소비에트 연방의 일부로 흡수되었다. 아르메니아 군대 역시 붉은 군대에 흡수되었다. 바그라먄은 투옥되어 몇 달간 노역을 하기도 했으나, 터키-아르메니아 전쟁이 발발하자 군 복무가 허용되었다. 1920년 12월, 아르메니아가 완전히 소비에트화되자 그는 제11 소비에트 군에 합류하여 기병 연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고,[3][15]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내전이 끝나고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 치하에서 안정을 찾자, 바그라먄은 이전에 만났던 타마라 하마야코브나를 찾아 나히체반으로 갔다. 그녀는 터키-아르메니아 전쟁 중 사망한 아르메니아 장교와의 사이에서 아들 몹세스를 두고 있었다. 바그라먄과 타마라는 1922년 말 결혼했고, 이후 딸 마르가리트를 낳았다. 타마라는 1973년 사망할 때까지 바그라먄의 곁을 지켰다.[16]
1923년, 바그라먄은 알렉산드로폴 기병 연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1931년까지 복무했다. 그는 군사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 꾸준히 교육을 받았다. 1925년 기병지휘과정을 이수했고, 1931년에는 고급지휘관 과정을 이수했으며, 레닌그라드 기병 학교를 졸업했다. 이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1934년 졸업)와 참모본부 아카데미(1938년 졸업)를 차례로 수료하며 고급 군사 이론을 습득했다.[3][7]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재학 중, 바그라먄은 민족주의 정당인 다시나크추튜운의 비밀 회원이라는 사실이 드러나 아카데미에서 제명될 위기에 처했다. 당시 스탈린의 대숙청이 진행 중이었기에 이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었다. 동료였던 표트르 그리고렌코는 바그라먄이 깊은 절망에 빠져 체포되기만을 기다렸다고 회고했다.[17] 그러나 그리고렌코의 조언과 같은 아르메니아계이자 정치국 멤버였던 아나스타스 미코얀의 도움으로 체포 영장이 철회되고 "재활" 판정을 받아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18]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제5 기병 사단의 참모장으로 근무했으며, 1938년부터는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에서 선임 강사로 일했다. 동기생인 안드레이 예레멘코나 게오르기 주코프 등이 승승장구하는 동안 그의 경력은 다소 정체되어 있었다.[19]
1940년, 게오르기 주코프가 키예프 군관구 사령관으로 임명되자 바그라먄은 그의 밑에서 일하고 싶다는 편지를 보냈다. 주코프는 이를 수락하고, 군관구 사령관 회의에 제출할 논문 작성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바그라먄이 작성한 "현대 공격 작전 수행" 논문은 주코프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는 바그라먄을 우크라이나 주둔 제12군 작전부장으로 승진시켰다.[1] 3개월 후, 당시 대령이었던 바그라먄은 키예프에 본부를 둔 남서부 전선의 부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7][20] 이는 독소전쟁 발발 직전의 일이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9월부터 키예프 군관구의 참모부 작전과장을 역임하며 당시 사령관이었던 게오르기 주코프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21][22] 1941년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남서 전선 참모부 작전과장으로서 키예프 방어전에 참여했으며, 포위된 전선에서 탈출한 소수의 고위 장교 중 한 명이 되었다.[25] 이후 세묜 티모셴코 원수의 참모장이 되어 니키타 흐루쇼프(당시 정치 장교)와 함께 로스토프 인근 전투를 조율했다.[20] 또한 모스크바 전투 중 옐레츠 작전 계획에 기여하여 중장으로 진급했다.[20][7]
1942년 3월, 하르코프 방면 공세 계획을 스탈린에게 직접 보고하여 승인받고 남서부 전선 참모장으로 임명되었으나,[22] 5월에 시작된 제2차 하르코프 전투는 소련군의 참패로 끝났다. 바그라먄은 작전 변경을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31] 작전 실패의 책임을 지고 6월 28일 스타프카에 의해 해임되어 제28군 참모장으로 강등되는 시련을 겪었다.[33] 흐루쇼프는 당시 바그라먄이 작전 실패와 인명 손실에 크게 절망했다고 회고했다.[32]
그러나 주코프 원수의 도움으로 1942년 7월 서부 전선 소속 제16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야전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35] 제16군은 이후 제11근위군으로 개편되었으며, 1943년 여름 쿠르스크 전투의 일부인 쿠투조프 작전에서 성공적인 지휘로 대장으로 진급했다.[38]
1943년 11월, 제1 발트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곧이어 육군 대장 계급을 받았다.[38] 그는 비테브스크 방면으로 진격하여 12월 말 고로도크를 탈환하는 등 벨라루스 해방에 기여했다.[41]
1944년 여름, 소련군의 대규모 공세인 바그라티온 작전에서 제1 발트 전선군을 이끌고 독일 육군 집단 중앙을 분쇄하고 비테브스크를 해방했으며, 다우가바 강 도하에 성공하는 등 혁혁한 공을 세웠다. 이 공적으로 1944년 7월 29일 소련 영웅 칭호와 레닌 훈장을 수여받았다.[7][47]
바그라티온 작전 이후 발트해 연안으로 진격하여 7월 말 해안 도시 투쿰스에 도달, 리가 만을 차단하고 라트비아에 주둔 중이던 다수의 독일군 사단을 포위(쿠를란트 포켓)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7][47] 10월에는 메멜 전투를 지휘하여 메멜을 점령했다.[48]
1945년 4월, 제3 벨로루시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동프로이센 작전에 참가, 쾨니히스베르크(현재 칼리닌그라드)를 함락시켰다. 5월 9일에는 쿠를란트 포켓에 갇혀 있던 독일군의 항복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46]
2. 3. 1. 주요 참전 전투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5년 러시아 제국군에 자원하여 오스만 제국군과 싸웠다. 10월 혁명 이후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 군대에 참여했으나, 아르메니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흡수되면서 붉은 군대 소속이 되었다. 1920년 12월부터 적군으로서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
1941년 6월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으로 독소전쟁이 발발하자, 남서 전선 참모부 작전과장으로 키예프 방어전에 참여했다. 키예프가 포위되었을 때 소수의 고위 장교들과 함께 탈출에 성공했다.[25] 이후 세묜 티모셴코 원수의 참모장이 되어 니키타 흐루쇼프와 함께 로스토프 인근 전투를 조율했다.[20] 또한 모스크바 전투 중 소련군의 대대적인 반격 작전인 옐레츠 작전 계획에 기여하여 중장으로 진급했다.[20][7]
1942년 3월, 하르코프 방면으로의 새로운 반격 작전을 스탈린에게 제시하여 승인받고 남서부 전선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5월 12일 시작된 제2차 하르코프 전투는 독일군의 반격으로 소련군이 포위당하면서 재앙적인 실패로 끝났다. 바그라먄은 작전 변경을 요청했으나 티모셴코와 스탈린은 이를 거부했다.[31] 이 실패로 인해 그는 6월 28일 스타프카에 의해 해임되고 제28군 참모장으로 강등되었는데, 이는 작전 실패의 책임을 전가하려는 스탈린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는 평가도 있다.[33][21]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의 신임으로 1942년 7월 서부 전선 소속 제16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야전 부대를 지휘하게 되었다.[35] 1943년, 제16군은 제11근위군으로 개편되었다. 쿠르스크 전투를 앞두고 바그라먄은 스타프카의 초기 작전 계획이 지나치게 무모하다고 판단하여 스탈린에게 직접 대안을 제시했고, 그의 제안이 받아들여졌다.[38] 7월 12일 시작된 쿠투조프 작전에서 제11근위군은 독일 방어선을 돌파하며 약 72.42km를 진격하는 성공을 거두었고, 이 공로로 그는 대장으로 진급했다.[38]
1943년 11월, 제1 발트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었고 육군 대장 계급을 받았다.[38] 1943년 겨울, 비테브스크 방면으로 진격하여 12월 말 고로도크 공세를 통해 독일군의 중요 거점인 고로도크를 탈환했다.[41]
1944년 여름, 소련군의 대규모 공세인 바그라티온 작전에 참여했다. 바그라먄의 제1 발트 전선군은 독일 육군 집단 중앙을 분쇄하고 비테브스크를 해방했으며, 다우가바 강을 도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그는 제43군을 늪지대로 이동시켜 독일군의 허를 찌르는 기습 공격을 성공시켰다.[46] 그의 부대는 벨라루스 파르티잔의 지원을 받으며 진격하여 7월 3일 폴로츠크를 점령했다.[47] 이 혁혁한 공적으로 1944년 7월 29일 소련 영웅 칭호와 레닌 훈장을 받았다.[7]
바그라티온 작전 이후, 제1 발트 전선군은 발트해 연안으로 진격했다. 바그라먄은 독일군이 리가를 중심으로 방어할 것으로 예측하고 리가 방면 공세를 주장했으나 초기에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6][48] 그의 부대는 7월 말 샤울랴이를 점령했고,[51] 마침내 허가를 받아 리가 방면으로 진격하여 7월 30일 해안 도시 투쿰스에 도달함으로써 리가 만을 차단하고 라트비아에 주둔 중이던 38개 독일 사단을 포위(쿠를란트 포켓)하는 데 성공했다.[7][47] 이후 10월에는 메멜 전투를 지휘하여 메멜을 점령하고 독일 북부 집단군의 퇴로를 차단했다.[48]
1945년 4월, 제3 벨로루시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동프로이센 작전에 참가했다. 그의 부대는 샘란트 작전을 통해 4월에 쾨니히스베르크(현재 칼리닌그라드)를 점령했다.[46] 1945년 5월 9일, 쿠를란트 포켓에 갇혀있던 독일군의 항복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46]
2. 4. 전후 활동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바그라먄은 1945년부터 1954년까지 발트 군관구 사령관으로 근무하며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 등지에서 활동하던 반소련 무장 저항 세력인 숲의 형제단에 대한 소탕 작전을 지휘했다. 1954년에는 국방부 수석 감찰관으로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955년 3월 11일에는 소련 국방부 차관에 오르며 동시에 소련 원수 계급을 받았다.[7][20]
이후 1956년부터 1958년까지는 참모본부 군사 아카데미의 교장을 역임했으며, 1958년 6월 2일에는 다시 국방부 차관으로 임명되어 소련군의 후방 지원 부서를 총괄했다.[20] 군사 분야 저술 활동에도 힘써, 군사 저널에 소련의 전략 작전에 관한 다수의 글을 기고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역할을 다룬 6권짜리 역사서 ''소련의 대조국 전쟁 (1941–1945)'' 편찬에 공동 저자로 참여하기도 했다.[7]
정치적으로는 1941년 소련 공산당에 입당한 이래 꾸준히 활동하여 1961년부터는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제2기부터 제10기까지 소련 최고 회의 대의원을 지냈다.
1967년 8월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와 수상 알렉세이 코시긴과 함께 북베트남을 방문하여 테트 공세를 앞두고 베트남 지도자들과 만나 무기 및 물자 이전을 포함한 군사 지원 문제를 논의했다.[52]
1968년 4월 25일 현역에서 은퇴한 후에는 소련 국방부 일반 감찰관단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군 원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20] 은퇴 후에는 회고록 집필에 몰두하여 1971년에 첫 번째 권인 ''이렇게 전쟁이 시작되었다''를, 1977년에는 두 번째 권인 ''이렇게 우리는 승리로 향했다''를 출간했다. 특히 두 번째 회고록에서는 전쟁 초기에 붉은 군대가 겪었던 막대한 피해를 분석하며, 공격뿐만 아니라 후퇴 기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전쟁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보여주었다.[53] 1979년에는 앞선 두 권을 바탕으로 한 ''나의 회고록''을 출판했는데, 이 책에는 그의 민족적 뿌리인 아르메니아와 관련된 문제, 특히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 등에 대한 내용이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다.[54]
바그라먄은 군 복무 기간 동안 수많은 영예를 안았다. 1944년 바그라티온 작전에서의 공로로 처음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1977년 12월 1일에는 다시 한번 이 칭호를 받아 '이중 영웅'이 되었다. 이 외에도 레닌 훈장 7회, 10월 혁명 훈장, 적기 훈장 3회, 수보로프 훈장 2회, 쿠투조프 훈장 등 다수의 소련 훈장과 메달을 수여받았다. 또한 폴란드의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2회, 독일 점령 승리 기념 메달 등 외국의 표창도 받았다.[7]
1982년 3월 바실리 추이코프 원수가 사망하면서, 바그라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고위 지휘관을 역임했던 소련 원수들 중 마지막 생존자가 되었다.[55] 그러나 그 역시 노환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몇 달 뒤인 1982년 9월 21일,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55] 그의 유해는 화장되어 모스크바 붉은 광장의 크렘린 벽 묘지에 국가적인 예우를 갖춰 안장되었다.[20]
사후에도 그의 업적은 기려지고 있다. 아르메니아의 한 도시와 군사 사격장, 아르메니아군 훈련 여단, 수도 예레반의 지하철역과 거리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1997년 5월 11일에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아르메니아 정부가 바그라먄 원수 100주년 기념 메달을 제정했으며, 이 메달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군인 및 민간인에게 수여되고 있다.[56]
3. 수상
;소련훈장 설명 수훈 날짜 및 횟수 금성 소비에트 연방 영웅 두 번 수훈 1944년 7월 29일, 1977년 12월 1일[57] 레닌 훈장 7회 수훈 1944년 7월 29일, 1945년 11월 6일, 1947년 12월 1일, 1957년 12월 2일, 1967년 12월 27일, 1972년 12월 1일, 1977년 12월 1일[57] 10월 혁명 훈장 1968년 2월 22일[57] 적기 훈장 3회 수훈 1941년 11월 6일, 1944년 11월 30일, 1951년 5월 17일[57] 수보로프 훈장 1급 2회 수훈 1943년 8월 27일, 1945년 4월 19일[57] 쿠투조프 훈장 1급 1943년 4월 9일[57] 적성 훈장 1936년 8월 16일[57] 소련군 조국 봉사 훈장 3급 1975년 4월 30일[57] 모스크바 방어 훈장 1944년 5월 1일 키예프 방어 훈장 1961년[57] 쾨니히스베르크 점령 훈장 1945년 1941-1945년 대조국 전쟁에서 독일 제국주의에 대한 승리 훈장 1945년[57] 블라디미르 일리치 레닌 탄생 100주년 기념 훈장 1969년[57]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20주년 기념 훈장 1965년[57] 1941–1945년 대조국 전쟁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 1975년[57] 소련군 참전 용사 훈장 1976년 무장 형제 강화 훈장 1979년 처녀지 개척 훈장 1956년 노동자-농민 적군 20주년 기념 훈장 1938년 소비에트 육군 및 해군 30주년 기념 훈장 1948년 소련군 40주년 기념 훈장 1958년[57] 소련군 50주년 기념 훈장 1968년[57] 소련군 60주년 기념 훈장 1978년[57] 모스크바 건립 800주년 기념 훈장 1947년 키예프 1500주년 기념 훈장 1982년[57] 명예 무기 – 소련의 황금 국장이 새겨진 검 1968년[57]
;외국훈장 이미지 훈장명 수훈 국가 비고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훈장 1급 불가리아 2회 수훈 중-소 우호 훈장 중국 무장 형제 강화 훈장 금장 체코슬로바키아 [57] 칼 마르크스 훈장 동독 [57] 수흐바타르 훈장 몽골 [57] 적기 훈장 몽골 할힌골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 몽골 [57] 몽골 인민 혁명 50주년 기념 훈장 몽골 [57] 일본에 대한 승리 30주년 기념 훈장 몽골 [57] 몽골 인민군 창설 50주년 기념 훈장 몽골 [57] 폴란드 재건 훈장 5급 폴란드 2회 수훈[57] 무장 형제 훈장 폴란드
참조
[2]
웹사이트
Milestones
https://web.archive.[...]
2007-05-02
[3]
간행물
Баграмян
https://gufo.me/dict[...]
Great Soviet Encyclopedia
[4]
서적
Artsakh
Amaras
1996
[5]
문서
Mnatsakanian p. 9
[6]
문서
Mnatsakanian p. 10
[7]
간행물
Baghramyan, Hovhannes Khachaturi
Armenian Soviet Encyclopedia
1976
[8]
문서
Mnatsakanian pp. 13–16
[9]
문서
Mnatsakanian p. 16
[10]
문서
Mnatsakanian pp. 18–19
[11]
문서
Mnatsakanian pp. 19–20
[12]
문서
Mnatsakanian p. 32
[13]
문서
Salisbury p. 112
[14]
웹사이트
Generals of Victory – Marshal Bagramyan
http://www.pobeda.ru[...]
2007-04-08
[15]
문서
Mnatsakanian pp. 37–44
[16]
문서
Mnatsakanian p. 47
[17]
서적
Memoirs
W. W. Norton & Company
1980
[18]
서적
"The Purge of the Military and the Red Army's Operational Capability during the 'Great Patriotic War'"
Berghahn Books
1997
[19]
문서
Jukes p. 25
[20]
웹사이트
Баграмян Иван Христофорович
https://web.archive.[...]
Ministry of Defence (Russia)
[21]
서적
The Road to Stalingrad: Stalin's War with Germany
Yale University Press
1999
[22]
문서
Jukes p. 26
[23]
문서
Salisbury p. 71
[24]
문서
Salisbury p. 73
[25]
서적
Tak shli my k pobede
Voenizdat
1977
[26]
문서
Khrushchev p. 322
[27]
문서
Khrushchev p. 321
[28]
문서
Khrushchev pp. 321–322
[29]
문서
Khrushchev p. 317
[30]
문서
Jukes pp. 26–27
[31]
서적
Ayspes e sksvel paterazme
Yerevan
1975
[32]
서적
Khrushchev: The Man and His Era
W. W. Norton & Company
2003
[33]
서적
Khrushchev: A Political Life
Palgrave MacMillan
1995
[34]
문서
Jukes p. 27
[35]
서적
Bagration 1944 – The Destruction of Army Group Center
Osprey Publishing
1996
[36]
문서
Jukes
[37]
서적
Kursk: The German View
Da Capo Press
2002
[38]
문서
Jukes
[39]
서적
Hitler's Commander: Field Marshal Walther Model – Hitler's Favorite General
Da Capo Press
2005
[40]
문서
Erickson
[41]
간행물
Bagramian's Progress
https://web.archive.[...]
2007-01-07
[42]
문서
Jukes
[43]
서적
Stalin's general : the life of Georgy Zhukov
Random House
2012
[44]
문서
Erickson
[45]
문서
Erickson
[46]
문서
Jukes
[47]
문서
Erickson
[48]
문서
Jukes
[49]
문서
Erickson
[50]
문서
Erickson
[51]
문서
Erickson
[52]
서적
Vietnam: Strategy for a Stalemate
Paragon House
1989
[53]
문서
The System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the Communist Countries
Sijthoff
1976
[54]
서적
Мои воспоминания
Aiastan
1979
[55]
뉴스
Ivan K. Bagramyan, A Soviet War Hero, Dies After an Illnes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2-09-24
[56]
웹사이트
Medal of Marshal Baghramyan
https://web.archive.[...]
[57]
웹사이트
Ива́н Христофо́рович Баграмя́н
https://warheroes.ru[...]
2021-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